Jun's Development Journey
[Part3_NOS_리눅스] 오답 노트 및 추가 내용 정리 본문
※오답노트※
1. Linux DNS의 SOA(Start Of Authority) 레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Zone 파일은 항상 SOA로 시작한다.
2) 해당 Zone에 대한 네임서버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가 저장된다.
3) Refresh는 주 서버와 보조 서버의 동기 주기를 결정한다.
4) TTL 값이 길면 DNS의 부하가 늘어난다.
=> SOA의 TTL은 DNS 캐시에 대한 것으로 DNS의 부하가 줄어든다.
2. Linux 시스템에 좀비 프로세스가 많이 생겨 시스템을 재부팅하려고 한다. 현재 시스템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5분 후에 시스템을 재부팅시키는 명령어는?
shutdown -r +5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3. Linux에서 명령어 'mv -i file1 file2'의 의미는?
1) 파일이 지워지기 전에 백업 파일을 만든다.
2) file2가 존재하더라도 강제로 삭제한다.
3) file2가 존재할 경우 덮어 쓸 것인가를 물어본다.
4) 파일 옮기지 전의 과정을 보여준다.
4. Linux 명령어의 tar의 Option 중에서 현재 작업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1) z
2) x
3) v
=> tar 명령어는 여러 개의 파일을 묶거나 풀 수 있는 명령어이고, v 옵션은 진행 상태를 출력시킨다.
tar 명령어를 이용해서 파일을 묶을 때는 cvf 옵션을 사용하고 파일을 풀 때는 xvf를 사용한다.
4) C
5. Linux 디렉터리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mp - 임시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터리
2) /boot - 시스템이 부팅될 때 부팅 가능한 커널 이미지 파일을 담고 있는 디렉터리
3) /var - 시스템의 로그 파일과 메일이 저장되는 위치
4) /usr - 사용자 계정이 위치하는 파티션 위치 => 사용자 계정은 /home 디렉터리이다.
6. Linux의 Redire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떤 명령의 결과 값을 원하는 위치로 출력하거나 어떤 명령의 입력 값을 원하는 위치로 받을 수 있다.
2) ">" 기호를 중심으로 앞의 결과 값이 뒤에 나오는 파일이나 하드웨어 장치로 출력된다.
3) "<" 기호를 중심으로 앞에 있는 파일이나 하드웨어 장치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4) ">>" 기호는 앞의 결과 값이 뒤에 나오는 파일로 출력되었을 때 기존 파일의 내용을 덮어쓴다.
=> ">>"는 파일에 내용을 추가한다. 만약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파일을 생성하고 추가한다.
7. Linux 아파치 설정 파일(httpd.conf)에서 설정 가능한 옵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Port : 포트 번호를 지정한다.
=> 아파치 웹서버의 기본 포트를 지정
2) DocumentRoot : 아파치 설정과 관련된 문서의 위치를 지정한다.
=> WWW 서버로 공개하는 컨텐츠가 해당 디렉터리에 위치하는 것이다.
3) Timeout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기본값은 60초이다.
=> 300초가 디폴트다.
4) MaxClient : 웹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수이다.
8. Linux에서 네트워크 환경 설정 파일을 수정한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재시작해야 한다.
컴퓨터를 재부팅하지 않고 네트워크 부분만을 재시작하는 명령어는?
/etc/init.d/network restart
9. Sendmail을 이용하여 메일링 리스트를 구성하려고 할 때 수정할 파일은?
1) /etc/mail/access
=> sendemail 프로그램은 전자우편을 발송하는 프로그램이여, access 파일로 메일 발송, 삭제 등의 설정을 할 수 있다.
2) /etc/mail/local-host-names
=> 메일 서버에 사용되는 도메인을 입력
3) /etc/aliases
=> 특정 계정으로 들어오는 메일을 다른 계정으로 전송되도록 설정
4) /etc/mail/rejectlist
10. Linux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 없는 파일은?
1) /etc/sysconfig/network
2) /etc/motd=>베너 파일과 시스템에 로그인할 경우 출력하는 메시지를 설정하는 것이다.
3) /etc/resolv.conf
4)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
+ /etc/hosts, /etc/host.conf
11. FTP 가상 디렉터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상 디렉터리의 Alias는 파일이 실제로 속해있던 디렉터리 이름과 일치하여야한다.
2) 가상 디렉터리는 읽기와 쓰기의 권한 설정을 할 수 있다.
3) FTP 디렉터리 확장에서 가상 디렉터리를 사용하면 모든 FTP 컨텐츠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옮기고 정렬할 필요없다.
4) 가상 디렉터리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IIS MMC에서 설정할 FTP 사이트를 실행한다.
12. Windows 2003 Server에서 DHCP 범위(Dynamic HostConfiguration Protocol Scope) 혹은 주소 풀을 만들 때 주의할 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DHCP 서버는 최소한 하나의 DHCP 범위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
2) DHCP 주소 범위에서 정적으로 할당되어야 하는 주소가 있다면 반드시 해당 주소를 제외해야 한다.
3) 네트워크에 여러 DHCP 서버를 운영할 경우에는 DHCP 범위가 겹치지 않아야 한다.
4) 하나의 서브넷에는 여러 개의 DHCP 범위가 사용될 수 있다.
=>DHCP 범위는 하나의 서브넷에 하나의 DHCP 범위를 사용해야 한다.
13. Linux 명령어 중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는?
1) groups => 그룹에 속한 사용자 계정을 확인할 때 사용
2) mkgroup
3) groupstart
4) groupadd
14. Linux의 각 디렉터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in : 추가된 응용 프로그램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렉터리
2) /lib : 각종 라이브러리가 저장된 디렉터리로 커널 모듈도 이곳에 설치된다.
3) /usr :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 필요한 모든 명령과 라이브러리 및 매뉴얼 페이지가 저장된다.
4) /root : 루트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루트 사용자만 접근 가능하다.
15. Linux의 일반적인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UNIX를 PC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 현재의 리눅스의 모태가 되었다.
2) 리눅스의 기본 동작 구조는 셀이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해주면 커널은 그 명령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3) NFS(Network File System)은 MS Windowd Server 기반 NTFS처럼 로컬 파일 시스템이다.
=>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으로, 원격으로 디렉토리를 마운트하여 디렉터리를 공유한다.
4) 마운트란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나 파티션을 논리적으로 시스템에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16. Linux 시스템에서 "ping" 이라는 파일을 표준 입력으로 받아서 만들어라 에 대한 명령어 형식은?
1) cat > ping
2) cat ping
3) cat - ping
4) cat < ping
17. Linux에서 DNS를 설치하기 위한 named.zone 파일의 SOA 레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erial : 타 네임서버가 이 정보를 유지하는 최소 유효기간 => Zone의 최신 상태 여부 확인
2) Refresh : Primary 네임서버의 zone 데이터베이스 수정 여부를 검사하는 주기
3) Retry : Secondary 네임 서버에서 Primary 네임서버로 접속이 안될 때 재시도 요청하는 주기
4) Expire : Primary 네임 서버 정보의 신임 기간
18. Windows 2003 Server에서 Active Directo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치하는 명령은 Dcpromo 이다.
2) 삭제하는 명령은 Dcpromo 이다.
3) 설치하기 위해서는 FAT 파일 시스템이어야 한다. => FAT32, NTFS 모두 사용 가능
4) 최소 하나의 Controller가 존재한다.
19. Windows 2003 Server의 파일 및 프린터 공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드라이브 공유 시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 사용자 수를 제한할 수 있다.
2) 공유된 드라이브나 디렉터리에는 손모양의 아이콘이 나타난다.
3) 디스크 드라이브 뿐만 아니라, 특정 디렉터리만 공유시킬 수 있다.
4) 공유 프린터는 반드시 기본 프린터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 개인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공유 프린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20. 현재 리덱터리와 하부 디렉터리까지 검색하여 core라는 파일을 찾아 삭제하는 명령어는?
find. -name core -exec rm -rf {} \;
'자격증 공부 > 네트워크 관리사 오답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t4_네트워크 운용 기기] 오답 노트 및 추가 내용 정리 (0) | 2020.10.13 |
---|---|
[Part3_NOS_윈도우] 오답 노트 및 추가 내용 정리 (0) | 2020.10.10 |
[Part2_TCP/IP] 오답 노트 및 추가 내용 정리 (0) | 2020.10.06 |
[Part1_네트워크 일반] 오답 노트 및 추가 내용 정리 (0) | 2020.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