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s Development Journey
[유형 2번] 네트워크 환경 설정 본문
[예시 문제]
Q.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K 사원은 C Class 주소의 네트워크를 가지고 하나의 서브넷 당 개의 호스트를 갖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하고자 한다. 제시 문제에 알맞은 네트워크 정보를 설정하시오.
IP : 192.168.100.59
Subnet : 하나의 서브넷은 6개의 호스트를 갖는다.
Gateway : 192.168.100.62
DNS : 192.168.100.245
1) 6개의 호스트 : 호스트 비트 수 3개 필요
=> 255.255.255.1111 1000 = 255.255.255.248
2) 로컬 영역 연결 속성에서 TCP/IP v4의 속성을 들어간다.
3) 주어진 조건 및 서브넷 마스크 값들을 차례로 넣어준다.
4) DNS 경우엔 보조 DNS 서버 주소 없이 기본 설정 DNS 서버 주소만 있다면 하나만 넣어준다.
[기출 문제1]
Q. 제시 문제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시오.
IP : 192.168.100.56/29
- 접근 방식 -
IP => 사용 가능한 첫 번째 IP 주소
Gateway => 사용 가능한 마지막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1111 1000 = 255.255.255.248
128 + 64 + 32 + 16 + 8 = 248
256 - 248 = 8 => 서브넷 당 IP 주소의 갯수
IP : 192.168.100.57 (56은 네트워크 주소로 제외)
Gateway : 192.168.100.62 (63은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제외)
56 57 58 59 60 61 62 63
[기출 문제2]
조건 값과 같이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추가하시오.
1. IP Address : 10101100.00010000.10010110.01110011
2. subnet mask : 22bit
3. Default Gateway : 192.168.100.254
4. DNS Servers : 200.100.100.200
5. 추가 Gateway : 192.168.100.253 => 고급에 들어가서 추가
6. 보조 DNS Servers : 201.100.100.201
'자격증 공부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형 6번] DNS 설정 (0) | 2020.11.26 |
---|---|
[유형 5번] 서비스 관리자 설정 (0) | 2020.11.25 |
[유형 4번] FTP 사이트 추가 (0) | 2020.11.24 |
[유형 3번] DHCP 설정 (0) | 2020.11.23 |
[유형 1번] 다이렉트 / 크로스 케이블 제작 (0) | 202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