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s Development Journey
[유형 9 ~ 13번 / 예제] 단답형 문제 본문
[유형 9번]
A 허브는 자신의 각각의 포트에 연결된 컴퓨터의 MAC 주소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A가 B에 신호를 보낼 때 B에게만 보내는 것이 아닌 허브에 연결된 모두에게 전송된다.
B 허브는 자신의 내부 메모리에 각 포트에 연결된 컴퓨터의 MAC 주소를 Table에 기록하기 때문에 A가 B에 신호를 보낼 때 A로부터 받은 신호를 B에게만 전송한다.
A : 더미 허브
B : 스위칭 허브
[유형 11번]
(중략) 스위치의 중복성은 시스템에 바람직하지 못한 A 문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A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IEEE 명세서에서는 스위치에 A 가 발생하지 않는 토폴로지를 생성하는 B 알고리즘을 사용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A : 루핑
B : STP(Spanning Tree Protocol)
[유형 12번]
ISP의 라우터가 Block 1,2,3,4의 네트워크 주소들 160.70.14.0/26, 160.70.14.64/26, 160.70.14.128/26, 160.70.14.192/26의 각각을 internet에 advertise하는 것은 internet 상에 advertise 메시지를 증가시키는 오버헤드를 발생시킨다. 그래서 이러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해당 라우터는 address aggregation을 수행하여 A 네트워크 주소만을 advertise한다.
A : 160.70.14.0/24
'자격증 공부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설정 / 추가] 네트워크 ID (0) | 2020.12.02 |
---|---|
[유형 14 ~15번 / 예제] 선택형 문제 (0) | 2020.11.27 |
[유형 8번 / 예제] Hyper-v 문제 (0) | 2020.11.27 |
[유형 14~15번] 선택형 문제 (0) | 2020.11.26 |
[유형 9~13번] (0) | 2020.11.26 |